온라인 게임을 할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것이 핑(Ping)입니다.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핑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정보를 보내면 서버에서 이를 막바로 사용자에게 돌려보내고, 다시 사용자의 컴퓨터에 돌아오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핑은 게임을 할때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을 하는데, 응답속도가 중요한 FPS 게임일수록 이런 핑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물리적인 거리가 멀수록 (서버가 해외에 있는 경우) 핑이 안좋아지고, 서버의 성능이 나쁠수록 핑의 수치가 악화가 됩니다. 이를 조금이라도 개선을 하기위하여 패스트핑 이라는 프로그램이나 핑업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번포스팅은 핑업 다운로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핑업이라는 프로그램은 과거에 네이버 소프트웨어에서 다운로드를 하면..
우리말로는 도구모음, 영어로는 툴바(tool bar)라고 불리우는 이 소프트웨어는 누군가에게는 공해에 불과하지만 또다른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유용한 소프트웨어였습니다. 브라우저에 적용되는 툴바는 특정 검색엔진을 쉽게 이용할수있도록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들면 바로가기 검색바나, 캡쳐기능 등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많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으로 유용한 소프트웨어가 바로 네이버 툴바 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네이버 툴바 다운로드를 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더이상 개발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크롬에서 많이들 이용하셨는데, 크롬 확장프로그램에 들어가면 위 이미지와 같이 종료가 되었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툴바를 설치하면 종료가 되었다면서 설치가 되지 ..
압축프로그램의 종류는 굉장히 많습니다. 제가 처음 접했던 압축프로그램은 LHZ 라는 압축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이 압축프로그램은 제가 아주 꼬꼬마였을시절, 플로피디스크 5.25인치 짜리를 들고다니던 시절에 이용을 했었던 유틸리티였지요. 하지만 이제는 전혀 사용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쓰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뒤로 사용을 했던것을 생각해보면... arj, rar, zip 등 여러가지 포멧이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작스럽게 통합 프로그램이 생기더군요. 하나의 압축프로그램으로 모든 압축 포멧을 해제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난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때 당시에 빵집 압축 프로그램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이 빵집이라는 유틸리티는 alz라는 폐쇄적인 압축포멧을 처음으로 외부 프로그램에서..